Network Manager Text User Interface의 약자다.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작업 대부분은 이 명령어를 실행하고의 이후에 진행된다. ● 자동 IP 주소 혹은 고정 IP 주소 사용 설정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
커뮤니티
[리눅스] CentOS 8 APM(Apache, PHP, MariaDB) 구축
APM 리눅스에서 구축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쉽게 구축할 수 있는 웹 서버 환경이다. Centos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중 가장 유명하고 안정적인 Apache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웹 프로그래밍 언어인 PHP와 MariaDB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를 지원한다.이 세가지를 […]
[리눅스] 네임(DNS) 서버 구축
DNS 는 도메인 네임 서비스(Domain Name Service)의 약자로 이름과 숫자 간의 매핑을 관리하는 서비스 기능이다.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ex: www.amazon.com)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예: 192.0.2.44)로 변환한다. 마치 전화번호부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리눅스] OpenSSH 설정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텔넷(Telnet)을 통해 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러나, 텔넷은 보안면에서 상당히 취약한 서비스다. 텔넷의 보안 취약점은 대강 이러하다. 1. Telnet은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를 지원하지 않는다. 2, 패스워드가 […]
[리눅스] 텔넷(Telnet)을 이용한 원격 접속
텔넷(Telnet)은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사용자는 당장 해당 컴퓨터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원거리에 있는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텔넷 사용자는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에 로그인하여 원격지 컴퓨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CentOS 리눅스에서 텔넷을 설정, Window에서 원격 접속하는 방법을 […]
[리눅스] GRUB 부트로더를 이용한 응급조치/부트로더
GRUB 포스팅 부터는 CentOS8 리눅스 배포판 버전으로 실습을 진행합니다. GRUB 부트로더가 필요한 경우 상황을 하나 가정해보자. 당신은 리눅스 작업을 해야하는데, root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잊어먹었다. 그러면 로그인이 불가능해서 작업이 불가능할 것이다. […]
[리눅스] 기초 명령어 요약
ls List의 약자. Windows의 ‘dir’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해당 디렉터리(=폴더)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한다. $ ls -> 현재 디렉터리 파일 목록 $ ls /etc/sysconfig -> /etc/sysconfig 디렉터리의 목록 $ ls […]
[리눅스] Samba 서버 구축
Samba는 Linux 및 UNIX 시스템에서 Windows 운영 체제와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기본적으로 Samba는 SMB/CIFS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Windows 기반 시스템과 호환되도록 한다.이를 통해 Windows 클라이언트는 Samba를 […]
[리눅스] DHCP 서버 구축
DHC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와 관련된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IP 동적 할당). 서버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동적으로 관리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필요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관련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