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 WEB-WAS 연동하기

WEB : NginX 1.25 WAS : Tomcat 10.1.17 사용한 AWS 리소스 구현 하려는 아키텍쳐 네트워크 설정 개요 기존 디폴트 VPC를 그대로 사용하고 서브넷의 범위를 나누어 주었다. VPC : 기존 디폴트 VPC 사용 리전 : ap-northeast-2 (서울) 서브넷 IPv4 CIDR 공인IP my-web-sub-01 172.31.0.16/28 X my-web-sub-02 172.31.0.32/28 X my-was-sub-01 172.31.0.48/28 X my-was-sub-02 172.31.0.64/28 X my-bastion 172.31.0.0/28 탄력적 […]
Tomcat-MariaDB 연동

지난 Apache/NginX-Tomcat와 Tomcat연동 포스팅에 이어 작성한다. Apache와 연동이 되어있어도 좋고, NginX와 연동이 되어있어도 좋다. 여튼 WAS인 Tomcat과 DB가 연동되면 웹에 나타나게 하면 되는 것이다. 1. MariaDB 설치 1. 마리아 DB 홈페이지에서 버전을 선택해 다운로드하자. 2. repository 설정 – 홈페이지에 있는대로 repo 설정을 넣는다. 3. yum 설치 repo 설정 가이드 밑에 나온 명령을 입력하여 MairaDB를 yum […]
아파치-톰캣 멀티 인스턴스 로드밸런싱

지난 아파치-톰캣 연동에 이어서 진행한다 1. Tomcat의 server.xml에서 포트번호 변경 tomcat1 HTTP 포트 : 8180 셧다운 포트 : 8105 AJP 포트 : 8109 tomcat2 HTTP 포트 : 8280 셧다운 포트 : 8205 AJP 포트 : 8209 2.Tomcat의 mod_jk 구성 파일 작성 [root@localhost conf]# vi mod_jk.conf 이 설정파일을 생성 하였으면, 이 파일 내용을 httpd.conf 파일에 매핑을 […]
NginX-Tomcat 연동 & 멀티 인스턴스 로드밸런싱

실행 사양 OS ; RHEL8 NginX : 1.25.2 Tomcat : 10.1.16 버전 NginX(엔진엑스)와 Java11, Tomcat(톰캣) 10.1버전은 설치가 되어있는 것을 가정한다. 1. 엔진엑스 – 톰캣 연동 사실 엔진엑스와 톰캣을 연동하는것은 진짜 쉽다. 아파치보다 훨씬 간결하다. Nginx 설정 파일에서 프록시 패스 하나만 설정해주면 되기 때문이다. 프록시 : 다른 서버에서 리소스를 찾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중개자 역할을 하는 […]
Apache, Tomcat 연동

실행 사양 OS : RHEL 8 Apache 2.4.58 버전 Tomcat 10.1.16 버전 JAVA 버전 : openjdk version “11.0.19” 2023-04-18 LTS 먼저 아파치와 톰캣은 미리 설치가 되어있어야 한다. 아파치 2.4 버전이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1. Tomcat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링크를 복사하고, 원하는 위치에 다운로드 한다. 다운 받은 후, 압축을 풀고 원하는 수량 만큼 인스턴스를 압축해제 한다. https://dlcdn.apache.org/tomcat/tomcat-10/v10.1.16/src/apache-tomcat-10.1.16-src.tar.gz 2. 필요한 패키지들 다운로드 톰캣이 […]
리눅스 설치
다음 메뉴얼에 따라 리눅스를 설치해보자 배포판 : RHEL8 가상 머신 : VMware Workstation 17 사용할 IP 주소 : 192.168.111.100 선행 준비물 : 리눅스 iso 파일 가상머신을 설치할 로컬 컴퓨터(본인 컴퓨터)의 폴더 1. 가상머신 생성 우선 이렇게 VMware 워크스테이션을 실행한다. 우측 상단에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한다. 그리고 일단 맨 하단에 I will install the […]
스테이블디퓨젼(stable-diffusion)을 리눅스(Ubuntu 22.04.1 LTS)에 설치하는 방법
리눅스(Ubutu)에 스테이블디퓨젼(Stable-diffusion)에 대한 검색을 많이 해보게 되었습니다. 알고 보니 이 프로그램은 알고리즘으로 볼 수 있었고 사실상 사용하기 위해서는 UI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 알고리즘(소스 코드)은 오픈소스로 누구나 추가로 개발하여 이용할 수 가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버전은 AUTOMATIC111로 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왜 리눅스(Ubuntu)로 스테이블디퓨젼(stable-diffusion)을 사용하는가? 웹 브라우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
Ubuntu 22.04.1 LTS 우분투 리눅스 그래픽 카드 설치
스테이블 디퓨젼(Stable diffusion)을 사용하기 위해 그래픽 카드를 구매했습니다. IT 업계 종사자 답게 리눅스 기반으로 구축하려고 합니다. 리눅스 그래픽 카드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 조금 낯설지만 검색하면 생각보다 쉽게 방법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왜 리눅스에 설치하려고 하는가? 스테이블 디퓨전은 Webui 라는 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웹 브라우저를 […]
나는 왜 스테이블 디퓨젼(Stable diffusion)을 시작하는가?
처음엔 경험삼아 스테이블 디퓨젼(Stable diffusion)을 설치해보았습니다. AI가 무에서 유를 창조하여 사진을 만든다는 것도 신기하고 무엇보다 오픈소스라서 비용이 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블로그나 유튜브를 통해 보았을 때, 좀 쉬어 보였습니다. 개발자나 엔지니어들은 더 쉽게 느껴질 겁니다. 스테이블 디퓨젼(Stable diffusion) 을 시작하는 이유 사업 비용 홈페이지 제작 사업에서 사진이 좀 필요해졌습니다. 물론 사진공유 사이트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