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EL 8 리눅스에 도커(Docker) 설치하기

RHEL 8 리눅스에 도커를 설치해보자. https://www.nuschool.co.kr/it-%ec%a7%81%ea%b5%b0/docker%eb%a1%9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a%b5%ac%ec%b6%95%ed%95%98%ea%b8%b0/ 이전 포스팅 처럼 윈도우에 도커를 설치할 때는 GUI 환경에서 홈페이지를 통해 설치파일을 다운받아서 했다면 리눅스에서는 CLI 환경으로 설치를 진행한다. Docker 이전버전 제거 도커 이전 버전 제거(도커를 설치한 적이 없다면 이 부분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Docker 설치 도커 레포지토리 패키지 추가 우선 도커를 설치하게 위해 레포지토리에 도커 패키지를 추가해 주어야 한다. […]
쿠버네티스로 WAS-DB 연동 및 3-Tier 완성

쿠버네티스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Tomcat의 디플로이먼트, 서비스 파일의 내용은 변경하지 않고, ConfigMap을 변경하고, MariaDB 파드를 생성하는 부분을 작성한다. MariaDB Deployment 작성 Deployment: mariadb-deployment로 MariaDB 서버의 배포를 정의한다. mariadb:latest 이미지를 사용해 컨테이너 파드를 생성하고, 3306 포트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레플리카셋은 마찬가지로 1로 한다. env(Environment Variables) : MariaDB 컨테이너는 환경 변수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설정을 구성한다. 여기에는 데이터베이스 […]
쿠버네티스로 WEB-WAS 연동

쿠버네티스는 메니페스트 파일을 통해 파드를 생성한다. 파드는 NginX와 Tomcat 두 종류를 사용하고, 그 두 종류의 파드를 서비스의 IP(클러스터 IP)를 기반으로 연동하게 될 것이다. 매니페스트 파일 쿠버네티스는 매니페스트(정의 파일)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파드를 생성한다. 매니페스트 파일의 내용을 쿠버네티스에 업로드하면 그 내용이 데이터베이스(etcd)에 ‘바람직한 상태’로 등록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바람직한 상태로 서버 환경을 유지한다. 디플로이먼트 파드와 레플리카셋(ReplicaSet)에 […]
쿠버네티스 개념과 구성

쿠버네티스(K8S)는 컨테이너 오토스트레이션 도구의 일종이다. 컨테이너 오토스트레이션이란 시스템 전체를 통괄하고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일을 말한다.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지휘(관리)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쉬울것이다. 쿠버네티스는 여러대의 컨테이너가 여러대의 서버에 걸쳐 실행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 서버 한 대마다 제각기 여러 대의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쿠버네티스는 도커에서의 도커 컴포즈 파일과 비슷한 정의 파일(메니페스트 파일)만 작성하면 이 파일에 기재된 […]
docker-compose로 NginX – Tomcat 연동
docker-compose로 NginX와 Tomcat을 연동해보자 WEB : NginX 최신 버전 컨테이너 & Apache 최신 버전 컨테이너 WAS : Tomcat 최신 버전 컨테이너 도커 컴포즈로 NginX와 Tomcat, Apache와 Tomcat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연동해보자. 우선 대략적인 플랜은 웹 서버는 리버스 프록시로 활용할 것이며 Tomcat 컨테이너에 Tomcat의 DocumentRoot(기본적으로 Tomcat에서는 webapps)에 있는 index.jsp 파일의 내용이 브라우저에 나타나게 할 것이다. 이렇게 하기 […]
Docker로 WAS-DB 연동
지난번 도커로 WEB-WAS 연동하기에 이어서 진행한다. https://img.nuschool.co.kr/docker%eb%a1%9c-web-was%ec%97%b0%eb%8f%99 WAS : Tomcat 10.1.17 컨테이너 DB : MariaDB 11.2.2 컨테이너 도커 컨테이너에 MariaDB 커넥터 설치 Tomcat의 컨테이너에 MariaDB Connector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아래 사이트로 가서 적절한 버전을 선택하고 아래 생성되는 링크를 다운받아 주도록 한다. https://mariadb.com/downloads/connectors/connectors-data-access/java8-connector 그리고 커넥터를 톰캣 설치 디렉터리 밑에 있는 lib 디렉터리에 넣어 준다. 그리고 MariaDB 컨테이너를 […]
docker-compose로 Tomcat-MariaDB 연동

우선 WEB(NginX나 Apache등)과 WAS가 연동되어있어야 한다. MariaDB : 11.2.2 버전(latest) Tomcat : 10.1.17 버전(latest) https://img.nuschool.co.kr/docker%eb%a1%9c-web-was%ec%97%b0%eb%8f%99 docker-compose.yml 파일에 Tomcat과 MariaDB를 연동하는 부분을 추가해주자 Tomcat 추가 설정 정보 항목 항목 이름 값 의존관계 depends_on mariadb000ex02 MariaDB 설정 정보 항목 항목 이름 값 이미지 이름 image mariadb:latest DB 관련 정보 environment Mysql 컨테이너 이름 services mariadb000ex02 MYSQL 데이터베이스 […]
Docker로 WEB-WAS연동

지난번에는 도커로 MySQL 컨테이너와 워드프레스를 연동해서 워드프레스 기본 사이트를 올려보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오늘 부터는 우선 도커 명령으로 WEB-WAS-DB를 연동하고 이후 포스팅에서 똑같은 과정을 docker-compose로 하는 과정을 보여주겠다. 여기서 필자가 중간에 한 실수들 까지 알려주겠다. 실습 환경 및 버전 정보 로컬 컴퓨터 OS : Window11 WSL : Ubuntu WEB : NginX 컨테이너 최신 버전 1.25.3 WAS […]
docker-compose로 워드프레스 구축

docker-compose 파일은 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명령어를 하나의 텍스트 파일(정의 파일)에 기재해 명령어 한번에 시스템 전체를 실행하고 종료와 폐기까지 한번에 하도록 도와주는 도구 도커 컴포즈 파일은 컴포즈 파일이 사용할 한 폴더에 단 ‘하나’만 있어야 한다. 도커 컴포즈 파일은 docker-compose.yml이라는 이름으로만 파일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docker-compose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 docker-compose.yml MySQL 컨테이너(mysql000vol11) 정의 도커 컴포즈에 포함될 […]
Docker로 워드프레스 구축하기

1. WSL 설치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 WSL 설치 후 필자는 Docker Deskttop을 아래 공식 사이트에서 설치했다. 여기서 윈도우 버전을 설치했다. 필자는 윈도우북을 쓰고있으니 윈도우 버전으로 설명하겠다. 명령 프롬프트 OR 파워쉘을 실행한다. 도커를 CLI에 입력했을 때 이렇게 명령어가 쭉 뜬다면 잘 설치된 것. 그럼 워드프레스를 구축해보겠다. 워드프레스는 워드프레스 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그것과 연동해 줄 Mysql or MariaDB 컨테이너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