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GRUB 부트로더를 이용한 응급조치/부트로더

GRUB 포스팅 부터는 CentOS8 리눅스 배포판 버전으로 실습을 진행합니다. GRUB 부트로더가 필요한 경우 상황을 하나 가정해보자. 당신은 리눅스 작업을 해야하는데, root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잊어먹었다. 그러면 로그인이 불가능해서 작업이 불가능할 것이다. 당신이 그냥 ‘학습’을 목적으로 리눅스를 깔았으면 그냥 재설치하면 그만이겠지만 중요한 파일이 들어있다거나, 현업에서 작업을 하는 상황이라면? 생각만 해도 아찔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쓸 수 있는 방법이 GRUB […]

[리눅스] 기초 명령어 요약

ls List의 약자. Windows의 ‘dir’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해당 디렉터리(=폴더)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한다.  $ ls -> 현재 디렉터리 파일 목록   $ ls /etc/sysconfig -> /etc/sysconfig 디렉터리의 목록   $ ls -a -> 숨김파일을 포함한 모든 목록(a : all)   $ ls-l ->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   $ ls *.cfg -> 확장자가 cfg인 목록을 보여줌 cd […]

[리눅스] Samba 서버 구축

Samba는 Linux 및 UNIX 시스템에서 Windows 운영 체제와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기본적으로 Samba는 SMB/CIFS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Windows 기반 시스템과 호환되도록 한다.이를 통해 Windows 클라이언트는 Samba를 실행하는 Linux 또는 UNIX 서버의 파일 및 프린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인증 및 권한 부여를 통해 파일 접근을 제어할 수 있으며, SMB3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 […]

[리눅스] DHCP 서버 구축

DHC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와 관련된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IP 동적 할당). 서버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동적으로 관리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필요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관련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제공한다. 필자는 우선 VM웨어를 사용하므로 VMware workstation pro에서 가동되는 DHCP 기능을 해제하였다. 가상머신 사양 [서버] DHCP 서버 : CentOS8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1 […]

[리눅스] NFS 서버 구축

OS : CentOS 8 NFS는 네트워크로 연결 된 컴퓨터 간 디렉토리를 공유하기 위한 서버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것인데, 암호화된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권장되지는 않는다. 윈도우는 네트워크로 연결 된 컴퓨터 끼리 폴더(디렉토리)를 공유할 수 있지만, 리눅스는 대부분 명령으로 작업을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윈도우 보다는 좀 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

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 2

사용자 정의 함수 사용자가 직접 함수를 작성하고 호출할 수 있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func1.sh 실행 함수의 파라미터 사용 함수의 파라미터 즉 인자를 사용하려면 함수를 호출할 때 뒤에 파라미터를 붙여서 호출하며, 함수 안에서는 $1, $2, … 로 사용한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func2.sh 실행 eval 문자열을 명령문으로 인식한다. 다음은 디렉토리 내의 .sh 파일을 전부 리스트 하는 프로그램이다. […]

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 1

셸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해 커널로 전달하거나, 커널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셸 스크립트는 C 언어와 유사한 방법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데, 리눅스가 애초에 C언어 기반 OS이기 때문이다. 셸 스크립트도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변수, 반복문, 제어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셸 스크립트는 주로 vi나 gedit으로 사용하는 편이다. 간단한 셸 스크립트 작성과 실행 vi name.sh […]

Ansible 플레이북 yaml(야믈) 실행

Ansible의 플레이북은 여러 서버나 장치들에 대한 설정, 배포,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스크립트 같은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플레이북은 Ansible이 어떤 작업을 해야 할지를 정의하는 것 파일이라고 보면 된다. 이 작업들은 YAML 형식으로 작성돼. 각 플레이북은 호스트 그룹이나 개별 호스트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안에는 한 개 이상의 테스크가 포함돼 있다. 이 테스크들은 모듈을 통해 시스템에 […]

Ansible 기본적인 Ad-hoc 명령어들

Ansible의 애드혹(Ad-hoc) 명령어는 Ansible의 풀 스크립트나 플레이북을 작성하지 않고, 간단한 명령어로 원격 서버에 대해 즉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을 의미한다. 이러한 명령어는 단일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때 유용하며, 복잡한 자동화 작업을 구성하기 전에 원격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애드혹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ansible 커맨드 라인 도구를 사용하여 실행되며,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른다: […]

Dockerfile로 이미지 빌드하고 레지스트리 생성하기

OS: 윈도우 11 도커 데스크톱 사용 Dockerfile(도커 파일) 생성해서 이미지 생성, 컨테이너 빌드하기 이미지 및 컨테이너 사양 컨테이너 이름 이미지 이미지 이름 포트 my-running-nginx nginx:latest my-nginx 80 Docker 이미지 빌드 도커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로 이동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Docker 이미지를 빌드한다. 이때 주의해야 될 사항은 도커 파일을 Dockerfile이라고 정확히 명명 해야 된다는 점이다. 도커 파일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