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넷(Telnet)은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사용자는 당장 해당 컴퓨터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원거리에 있는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텔넷 사용자는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에 로그인하여 원격지 컴퓨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CentOS 리눅스에서 텔넷을 설정, Window에서 원격 접속하는 방법을 […]
[카테고리:] IT 기술
[리눅스] GRUB 부트로더를 이용한 응급조치/부트로더
GRUB 포스팅 부터는 CentOS8 리눅스 배포판 버전으로 실습을 진행합니다. GRUB 부트로더가 필요한 경우 상황을 하나 가정해보자. 당신은 리눅스 작업을 해야하는데, root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잊어먹었다. 그러면 로그인이 불가능해서 작업이 불가능할 것이다. […]
[리눅스] 기초 명령어 요약
ls List의 약자. Windows의 ‘dir’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해당 디렉터리(=폴더)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한다. $ ls -> 현재 디렉터리 파일 목록 $ ls /etc/sysconfig -> /etc/sysconfig 디렉터리의 목록 $ ls […]
[리눅스] Samba 서버 구축
Samba는 Linux 및 UNIX 시스템에서 Windows 운영 체제와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기본적으로 Samba는 SMB/CIFS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Windows 기반 시스템과 호환되도록 한다.이를 통해 Windows 클라이언트는 Samba를 […]
[리눅스] DHCP 서버 구축
DHC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와 관련된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IP 동적 할당). 서버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동적으로 관리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필요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관련된 […]
[리눅스] NFS 서버 구축
OS : CentOS 8 NFS는 네트워크로 연결 된 컴퓨터 간 디렉토리를 공유하기 위한 서버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것인데, 암호화된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권장되지는 […]
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 2
사용자 정의 함수 사용자가 직접 함수를 작성하고 호출할 수 있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func1.sh 실행 함수의 파라미터 사용 함수의 파라미터 즉 인자를 사용하려면 함수를 호출할 때 뒤에 파라미터를 붙여서 호출하며, […]
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 1
셸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해 커널로 전달하거나, 커널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셸 스크립트는 C 언어와 유사한 방법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데, 리눅스가 애초에 C언어 기반 OS이기 때문이다. 셸 […]
Ansible 플레이북 yaml(야믈) 실행
Ansible의 플레이북은 여러 서버나 장치들에 대한 설정, 배포,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스크립트 같은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플레이북은 Ansible이 어떤 작업을 해야 할지를 정의하는 것 파일이라고 보면 된다. 이 작업들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