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 방통대, 사이버대학 3가지 비교하기 (feat. 비용 산정 포함)

방송통신대학교, 사이버대학, 학점은행제를 비교하는 포스팅입니다. 자세한 비용 비교는 포스팅 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학점은행제를 가장 추천을 하는 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컴활 1급 빨리 따기 (필기 7일, 실기 7일)

요즘 시대에 컴퓨터 활용 역량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를 인정받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컴퓨터 활용 능력 1급 자격증이 있습니다. 이 자격증은 컴퓨터 사용 능력을 측정하고 인증하는 국가 자격증으로, 직장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컴퓨터 활용 능력에 대한 평가 및 인정으로 인해 취업이나 승진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컴활 1급 자격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지] 누스쿨에서 멘토링을 신청하기 전에 필독사항!

안녕하세요. 누스쿨에서 멘토링과 IT 기술 공유 커뮤니티 운영을 하고 있는 대표 멘토 겸터입니다. 누스쿨 커뮤니티 리뉴얼 이후에 첫 공지를 드디어 올리게 되었네요. 2023년에 아무것도 없이 시작하다가, 최근 이직 후, 많은 신경을 못 쓰고 있었던 거 같아요. 지금 4~5개월째인데 이제 슬슬 새로운 회사 생활에 적응을 마치고 있는 중입니다. 2024년 4분기가 되기 전에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누스쿨을 […]
[자바] 3. 연산자
1. 연산자와 피연산자 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말한다. 예를 들어 ‘+’기호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며 ‘덧셈 연산자’라고 부른다. 자바에는 사칙연산(+,-,/,*)를 비롯해서 더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한다. 연산자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산의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이 대상이 ‘피연산자’이다. 4*x+3 이라는 식이 있을 때 4,x,3이 피연산자 *와+가 연산자이다. 2. 연산자의 종류 연산자의 개수는 많지만 연산사의 기능이 비슷한 것들끼리 […]
[자바] 2. 변수
1. 화면에 글자 출력하기 System.out.print()를 사용한다 괄호() 안에 출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넣으면 된다. System.out.print() 외에도 System.out.println()이 있는데 System.out.print()은 괄호 속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하지 않는다. System.out.println()은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한다. 그리고 이클립스에서 sysout을 적으면 System.out.println()을 자동 완성할 수 있어서 매우 편하다. 자바는 대소문자를 구분하므로 System을 system으로 적지 않도록 주의! 2. 덧셈 뺄셈 계산하기 […]
[자바] 1.자바(JAVA)란?
자바의 정석을 읽고 자바의 특징을 요약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어를 강조한 글
자바를 처음 공부하는 사람이나 복숩하는 사람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리눅스] RAID란?

서버 컴퓨터의 저장 장치 대부분은 RAID 방식을 사용한다. RAID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 처럼 사용 하는 방식이다. 비용을 절감하더라도 신뢰성을 높이며 성능까지 향상 시킬 수 있다. RAID 레벨 RAID는 기본적으로 구성 방식에 따라 Linear RAID, RAID 0/…/6으로 나뉜다.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Linear RAID, RAID 0, RAID 1, RAID 5와 RAID 5의 변형인 RAID 6 등이다.RAID 2~4는 […]
[리눅스] FTP 서버 CentOS 8 에서 구축
FTP란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TCP/IP 네트워크(인터넷)상의 장치가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다. 그리고 FTP 서버란 파일을 Mac, Windows, Linux 컴퓨터 등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다. 간단히 설명하면 FTP 서버는 FTP 주소를 가지고 있고 FTP 연결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입니다. 우리는 FTP 서버로부터 파일을 ‘받을‘ 수도 있고, FTP 서버로 파일을 ‘보낼‘ 수도 있다. 파일을 업로드하면 […]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
보통 윈도우에 익숙해진 우리는 리눅스를 보면 상당히 당황하게 된다.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여러 개 미리 설치해 놓는다. 혹은 우리가 필요하면 설치한다. 그리고 리눅스에서 우리는 쉘(Shell)이라는 명령을 통해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런데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건 우리가 명령을하고 궁극적으로는 OS가 하는거다. 그러면 그 프로그램의 실행파일과 데이터들은 어디에 둬야 될지를 생각해야할 것이다. 바로 이 부분에서 윈도우에 익숙해진 우리는 당황하게 […]
[리눅스] 네트워크 명령어 및 설정 파일
Network Manager Text User Interface의 약자다.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작업 대부분은 이 명령어를 실행하고의 이후에 진행된다. ● 자동 IP 주소 혹은 고정 IP 주소 사용 설정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 ● DNS 정보 입력 ●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 네트워크 장치 설정 변경한 네트워크 설정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하고 항시 작동되도록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