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nmtui
Network Manager Text User Interface의 약자다.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작업 대부분은 이 명령어를 실행하고의 이후에 진행된다.
● 자동 IP 주소 혹은 고정 IP 주소 사용 설정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
● DNS 정보 입력
●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 네트워크 장치 설정
변경한 네트워크 설정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하고 항시 작동되도록 설정
systemctl start NetworkManager
systemctl stop NetworkManager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
네트워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
ifup [네트워크 장치 이름](필자는 ens32)
ifup과 반대로 생각하면 된다, 해당 장치를 중지시키는 명령어다.
ifdown ens32
장치의 IP 주소 및 관련 정보를 알아내는 명령
ifconfig 장치이름
DNS 서버의 설정을 테스트하는 명령
이 명령어를 설정하려면 DNS 서버관련 패키지가 반드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nslookup
해당 컴퓨터가 네트워크상에 응답을 하는지 테스트하는 명령어다. 컴퓨터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할 때 주로 쓴다.
단, 이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응답이 되는 사이트가 있고, 안 되는 사이트가 있다. 그 경우에는 응답이 되는 사이트에 가서 응답이 되는걸 확인했으면 그냥 ‘네트워크가 정상이구나’ 하고 생각하면 된다.
ping으로 응답이 안 되는 사이트는 그 사이트(혹은 해당 플랫폼 회사)에서 ping 응답을 하지 않도록 막아놓은 것이다.
ping {IP 주소} 또는 URL
리눅스의 네트워크 관련 설정 파일
네트워크와 기본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이다.
/etc/sysconfig/network
ens32에 설정된 네트워크 기본 정보가 저장된 파일이다.
/etc/sysconfig/network-script/ifcfg-ens32
DNS 정보와 호스트 이름 파일이 들어있다.
/etc/resolv.conf
현재 컴퓨터 호스트 이름과 FQDN이 되어있는 파일이다.
/etc/hosts
FQDN : ‘절대 도메인 네임’ 또는 ‘전체 도메인 네임’ 이라고도 불리는 도메인 전체 이름을 표기하는 방식.
www.tistory.com
위의 주소 중 www 부분이 ‘호스트’이고, tistory.com 부분이 ‘도메인’이다.
위에 쓴 것처럼 호스트와 도메인을 함께 명시하여 전체 경로를 모두 표기하는 것을 FQDN 이라 한다.
[실습] nmtui 명령어로 고정 IP 밑 DNS 설정
root 사용자로 접속후 nmtui 명렁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이 화면이 뜰 것이다.

[TAP]키와 아랫방향 방향키를 눌러서 ‘연결 편집’에 커서를 올려져 있으면 거기서 ENTER 누르면 된다.

여기서 방향키를 조작해 ‘편집…'(영어로는 edit connection)으로 가서 ENTER를 누른다.

필자는 본래 리눅스 서버 IP가 그냥 자동 할당으로 설정이 되어있었다. 여기서 필자는 IP 주소와 게이트워이, DNS 서버 주소를 설정할 것이다.
간단하다. 방향키, ENTER 키로 커서를 바꾸면서 본인이 바꾸고 싶은 주소로 설정하면 된다.
필자가 설정한 주소다.
● IP 주소 192.168.111.129/24
● 게이크 웨이 192.168.111.2
● DNS 정보 192.168.111.2

이제 변경한 내용을 적용시킨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systemctl status network

위에서 언급했지만 네트워크 장치를 작동/중지 시킬거면 이 명령어 실행하면 된다.
ifup/ifdown ens32(장치이름)
DNS 서버 주소는 nslookup으로 보면 된다.
필자가 지금 쓰고있는 server 컴퓨터 DNS를 알아보았다.

위에서 설정한 대로 되었다.
마지막으로 ping 명령으로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구글은 ping이 응답을 잘 한다. 대답이 나오면 잘 되는 것이다.

이 경우가 바로 사이트 측에서 ping 명령어 응답을 막아놓은 경우이다. 그냥 위에 ping {구글 주소} 명령어로 잘 됐으면 정상인거라고 알면 된다.